- 1세대 컴퓨터의 특징
- 2세대 컴퓨터의 특징
- 3세대 컴퓨터의 특징
- 4세대 컴퓨터의 특징
- 5세대 컴퓨터의 특징
5세대 컴퓨터 시스템은 초고밀도 집적회로 VLSI(Very Large Sacle Integrated Circuit)를 기본 소자로 하여 초미니 초고속을 추구하며, 기존 시스템의 수준을 벗어나 경영정보, 지식정보시스템, 인공지능 신경망, 퍼지, 멀티 미디어 가상현실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기계와 인간의 인터페이스를 좀 덛 인간에게 편리하도록 하기 위해 GUI(Graphic User Interface)환경을 구현하였으며 자동 변역 시스템, 음성 인식 응용시스템과 같은 장치들이 인간이 좀 더 편리하게 컴퓨터와 인터페이스 하도록 해준다.
: 초고밀도 집적회로 VLSI
: 초미니, 초고속 추구
: GUI(Graphic User Interface)
: 자동번역, 음성인식
: 경영/지식정보시스템
: 인공지능 신경망
: 퍼지
: 멀티 미디어 가상현실
01. 다수의 사용자들이 하나의 컴퓨터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컴퓨팅 자원을 공유 해주는 방식은?
1. 일괄 처리
2. 시분할 처리
3. 분산 처리
4. 실시간 처리
2. 시분할 처리
- 1960년대 등장
- 현 시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운영체제와 비슷한 시스템
- 하나의 중앙 컴퓨터를 두 개 이상의 단말장치에서 동시에 공동 이용하는 방식으로 운영.
- 프로세스의 사용 시간을 작게 나누어 다중 사용자나 여러 작업을 한 대의 컴퓨터에서 할 수 있게 한다.
일괄 처리(1950)
- 초기 운영체제의 형태.
- 여러개의 작업을 단일 작업으로 묶어서 일괄로 처리하는 시스템.
- 작업을 실행하면 끝을 낼 때까지 다른 작업을 할 수 없다.
-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으나, 성적 처리 시스템 등에서는 일부분 사용되기도 한다.
실시간 처리(1960)
- 컴퓨터에 의한 정보 처리 방식
- 데이터가 발생한 시점에서 필요한 계산 처리를 즉석에서 수행하여 해당 결과를 데이터가 발생한 곳으로 되돌려 보낸다.
- 프로세스를 실행한 후에도 다음 프로세스에 대한 대기/실행 제어가 가능하다.
- 공정 제어 기게나 의료기 시스템에 주로 사용됨.
분산 처리(1980)
- 여러 개의 분산된 데이터 저장장소와 처리기들을,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서로 통신하면서 동시에 일을 처리하는 방식.
- 하나의 대형 컴퓨터에서 수행하던 기능을 분산된 여러 컴퓨터에 분담시킨 후, 네트워크를 통해 처리한다.
02. 작업을 여러 프로세서에 분배하여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빠른 시간 내에 작업을 처리하는 시스템은?
1. 일괄 처리 시스템
2. 시분할 시스템
3. 병렬 시스템
4. 실시간 시스템
3. 병렬 시스템 (1990)
-병렬 시스템(Parallel System) = 다중 프로세서 시스템(Multi Processors System)
- 2개 이상의 CPU가 각자 맡은 역할을 수행
- 대칭 구조(Symmetric multiprocessing, SMP) / 비대칭 구조(Asymmetric multiprocessing, AMP) 존재.
- 경제적이며, 처리량이 높고, 시간이 지날수록 실패하는 비율이 작다는 장점이 있다.
- 하나의 CPU가 고장이 나더라도 다른 CPU가 일을 수행할 수 있어 신뢰성이 높다.
- 대표적인 경우로는 리눅스 시스템이있다.
- 동시에 많은 프로세스가 메모리 내에 존재하며, 프로세스가 무언가를 긷다려야 할 때마다 운영체제는 다른 대기 중인 프로세스가 CPU를 사용하도록 한다.
03. 인터넷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수의 컴퓨터를 활용한 계산 방식?
1. 실시간 컴퓨팅
2. 병렬 컴퓨팅
3. 모바일 컴퓨팅
4. 클라우드 컴퓨팅
4. 클라우드 컴퓨팅
04. 다음 중 정보가 다수의 연산 소자에 분할되어, 그 처리가 동시에 수행되는 것은? 이것은 인간의 정보 처리 방식에 가까운 방식으로서 고속처리에 주로 사용된다.
1. 다중 프로그래밍
2. 시분할처리
3. 자연어처리
4. 병렬처리
4. 병렬처리
05. 컴퓨터의 발전을 가능하게 한 기술로 적당하지 않는 것은?
1. 열 감소 기술
2. 저전력 소모
3. 컴파일러 기술
4. 키보드 키 배열 기술
4. 키보드 키 배열 기술
06. 컴퓨터의 구성장치에는 크게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로 구분된다. 컴퓨터의 기계적인 구성장치를 의미하는 하드웨어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입력 장치
2. 출력 장치
3. 시분할 장치
4. 처리 장치
3. 시분할 장치
07. 중앙처리장치의 하드웨어적인 요소가 아닌 것은?
1. IR
2. MAR
3. MODEM
4. PC
3. MODEM
08. 세대별 컴퓨터 발전과정을 5세대로 나눌 때 4세대 컴퓨터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개인컴퓨터 (PC: Personal Computer)의 대중화
2. 온라인 실시간 처리 시스템의 보편화
3. 빠른 처리 속도(ps: 10-12)를 가진 IBM 4300, 3030 모델 출시
4. 초고밀도 집적회로를 기본 소자로 한 초미니, 초고속 컴퓨터 시스템 개발
4. 초고밀도 집적회로를 기본 소자로 한 초미니, 초고속 컴퓨터 시스템 개발(5세대)
'Digital Forensic > 디지털포렌식전문가2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베이스언어 (0) | 2024.05.07 |
---|---|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이해 (0) | 2024.04.25 |